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소속시설

(재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제주시센터

(재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제주시센터
(재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제주시센터 | 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2차 운영위원회 회의록에 대해 게시글의 제목, 작성자, 작성일, 조회수로 분류하여 정리한 표입니다.
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2차 운영위원회 회의록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2/12/12 (00:00) 조회수 417

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2차 운영위원회 회의록을 공개합니다.

첫 번째 pdf 파일 전문입니다.

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생산등록번호 제주시종합재가센터 -767 등록일 2022.12.12 결재 일 2022.12.12 공개구분 공개 주임 나현아 센터장 전결 12/12 이화선 협조자 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 S— 2차 운영위원회 회의톡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AO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■ 일 시 : 2022년12월 8일(목) 오전11시 ■ 장 소 : 例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사랑나눔실 ■ 참석자 : 이명희 위원(원광요양원장),이정애 위원(제주애덕의집원장) 양일경 위원(제주시희망복지지원팀장),이화선 위원(제주시 종합재가센터장) ■ 불참자 : 김기영 위원(제주시종합재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) ■ 배석자 : 나현아간사(제주시종합재가센터 주임) ■ 회순 1. 개회인사 2. 성원보고 3. 전차회의록 검토 및 숭인 4.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抄심의 1)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사업계획 및 예산(안) 2)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장기요양서비스(방문요양)사업계획 및 예산(안) 3) 긴급돌봄지원사업계획 및 예산(안) 4) 우리마을돌봄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 5) 우리마을돌봄센터 장기요양서비스(주간보호, 방문요양)사업계획 및 예산(안) 5. 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개정 경과보고 6. 기타사항 7. 폐회선언 1. 개회인사 - 이명희운영위원장의 안부 및 참석 감사 인사로 2022년 제2차 운영위원회의가 개회되다. 2. 성원보고 - 이명희위원장이 나현아간사에게 성원보고토록 하다 이에 나현아간사가 운영위원 5명 중 김기영 위원 미참석하고, 4명이 참석하였음을 보고하다 - 이명희위원장이 과반수 참석으로 성원이 되었음을 알리다 3. 전차회의록 검토 및 승인 - 이명희위원장이 사전 전달된 회의록 내용을 검토했는지 묻고,첨삭의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다. - 이정애위원과 양일경위원이 서면 그대로 받기를 동의히다. 4.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심의 - 이명희위원장이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 심의 안건 상정의 방법 에 있어서 의견이 있는지 묻다. 이에 이정애위원이 심의 안건 일괄 상정하고,심의할 것 을 제안하다. - 참석 위원 모두 동의하고,이명희위원장이 이화선위원(당연직)에게 안건을 설명토록 하다.- 이화선위원이 회의자료 pp.6〜16의 사업계획과 pp.17〜30의 예산(안) 내용을 참고하여 설명 하다. - 이명희위원장이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가 지역사회에 안정적이게 정착하고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사업계획 및 예산(안)에 대한 심의,조언의 내용이 있는지 묻다. - 이정애위원이 장기요양서비스(방문요양)사업에 있어서 돌봄 종사자 및 이용자 관리등 만 전을 기하여 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환수조치 등 운영부실이 없도록 사업관리 되어야 할 것임을 말하고, 우리마을돌봄센터사업 관련하여 또 하나의 노인재가복지시설로 설치(장기 요양기관지정)하여 운영되는 형태인지를 묻다. - 이화선위원이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은 단순히 노인재가복지시설 한 개소가 설치되는 것이 아닌,농•산•어촌형 혹은 제주도의 중산간 마을 중심의 소규모노인복지시설 로서의 모델을 찾아가기 위한 과정 가운데 기존 제도권 안에서 물리적인 환경을 구축하 여 공공에서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마을주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마을 중심의 돌봄 인프라 모델을 개발하는 시범사업임을 설명하다. - 이명희위원장이 소속 법인에서 마사회 후원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 사업 중 징검다리 시설 개념의 소규모요양시설 운영( “은빛 마을노인센터” ) 경험과 일본의 경우 소규모요양시설의 경우 수가 체계가 다르다는 점을 공유하며 참고해 볼 것을 제안하다. - 이정애위원이 우리마을돌봄센터 사업예산(안)에서 센터장의 인건비 부분이 누락 되어 있 음을 확인하고 이유에 대해 묻다. - 이화선위원이 제주시종합재가센터의 센터장이 겸직할 계획임을 설명하고 시.군.구 행정 담당 부서와 소통 시 겸직 가능을 확인했음을 말하다. - 이명희위원장,이정애위원이 센터장 겸직 부분과 관련해서는 사군.구의 해석과 건강보험 공단의 해석이 다를 수 있음에 정확한 확인 후 사업계획 및 예산(안)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말하다. - 이명희위원장이 심의 및 질의내용 없음을 확인하고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에 대한 심의를 종료할 것에 동의를 구하자,양일경위원이 동의하다. 5. 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개정 경과보고 - 이명희위원장이 지난 1차 회의 시 종합재가센터 운영 규정에 대한 심의가 있었고,이와 관련 경과 내용을 이화선위원에게 보고토록하다. - 이화선위원이 법인에 2022년 1차 운영위원회 개최 후 회의내용 보고하고 법인의 돌봄서비스 지원팀과 협압하여 개정(안)이 작성되어 2022년 12월 12일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이사 회에 안건으로 상정될 예정임을 보고하다. 6. 기타사항 - 이화선위원이 2022년 사업보고 및 결산에 대한 심의 등을 진행하기 위한 2023년 1차 운영위 원회 일정 조율이 필요함을 이야기하다.- 이에 참석 위원 2023년 2월 9월(목) 오전11시로 잠정 의견을 조율하다. 7. 폐회선언 - 이명희위원장이 더 이상의 심의 및 조율내용이 없음을 확인하고, 연말 각 소속된 기관행사로 도 바쁜 시간에 회의 참석 및 고견으로 함께 한 위원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폐회를 선언 하다.

두 번째 pdf 파일 전문입니다.

2022년 2차 운영위원회 일시 : 2022년 12월 8일(목) 오전 11시 장소 : (재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(사랑나눔) 주관 : 제주시종합재가센터회 순 Ⅰ. 개회인사 Ⅱ. 성원보고 Ⅲ. 전차회의록 검토 및 승인 / 4 Ⅳ.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 심의 / 6 [사업계획] 1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사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 8 2. 장기요양서비스사업(방문요양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 10 3. 긴급돌봄지원사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 12 4.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 14 [예산(안)] 1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사업 예산(안) -------------------------- / 17 2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예산(안) ----------------- / 20 3. 긴급돌봄지원사업 예산(안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 23 4.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예산(안) ---------------------- / 25 5. 우리마을돌봄센터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예산(안) ------------------ / 28 Ⅴ. 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개정 경과보고 Ⅵ. 기타사항 : 회의 정례화를 위한 일정 조율 등. Ⅶ. 폐회 / 31Ⅰ 개회인사 ------------------------- 이명희 운영위원장 Ⅱ 성원보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나현아 간사 운영위원 5명 중 4명 참석 참석자 : 이명희운영위원장, 이정애운영위원, 양일경운영위원, 이화선운영위원 불참자 : 김기영운영위원Ⅲ 전차회의록 검토 및 승인 ■ 일 시 : 2022년 11월 3일(목) 오전 11시 ■ 장 소 : (재)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온기나눔실 ■ 참석자 : 이명희 위원(원광요양원장), 이정애 위원(제주애덕의집원장) 양일경 위원(제주시희망복지지원팀장), 이화선 위원(제주시종합재가센터장) ■ 불참자 : 김기영 위원(제주시종합재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) ■ 배석자 : 양시연 원장(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원장) 나현아 간사(제주시종합재가센터 주임) ■ 회의내용 1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위원회 상견례 및 위촉장 전달 2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위원회 위원장 호선 3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공유 및 심의 4. 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계획 및 운영경과보고 심의 5. 기타사항 : 회의일정 조율 등. - 나현아 간사가 회순 안내하고,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양시연원장의 감사 인사로 2022년 제1차 운영위원회 회의가 개회되다. 1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위원회 상견례 및 위촉장 전달 -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양시연 원장이 제주시장을 대신하여 운영위원 위촉장 전달하고, 위원 각자가 소개하는 시간을 갖다. 이후 양시연 원장 퇴실하다. 2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위원회 위원장 호선 - 이화선위원(당연직)이 사전에 전달한 운영규정 회의자료 검토 여부를 묻고, 운영위원장 호선 을 제안하다. - 이에 양일경위원이 이명희위원을 위원장으로 추천하다. - 참석자 만장일치로 이명희위원이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위원회 제1대 운영위원장으로 추대 하고 이명희위원이 수락하다. - 이화선위원이 위원장이 호선되었으니, 이후 회의 진행을 이명희위원장에게 요청하고, 이를 수 락하다. 3.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공유 및 심의 - 이명희위원장이 사전에 전달된 운영규정에 대한 심의사항이 있는지 묻고 몇 가지 의견을 말 하다. - 4 -[심의사항] 제2장 조직 및 인사 제9조(인사) ①항 수습기간 이라는 단어와 6개월의 기간 검토 필요 제3장 운영위원회 제14조(운영위원회 구성) ①항 구성인원에 대한 명확한 인원과 장기요양 평 가 사항을 반영한 구성원 필요, ②항 운영위원회 위원 위촉은 시군구 지자체장이 하고 있음, ③항 추후 부위원장 호선 필요. 제4장 사업 및 운영 제33조(서비스 제공자의 배상책임)②항 요양보호사배상책임보험이 아닌, 전문직업배상책임공제로 변경. 제6장 재무‧회계 제51조(물품의 관리)는 제7장 차량 관리에 통합해서 재정비 필요 - 이정애위원이 앞서 이명희위원장이 제시한 심의내용에 동의하며, 최근 인권에 대한 이슈 등, 고충처리에 관한 사항은 기관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세부 지침으로 제정 필요가 있음 을 말하다. 4. 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계획 및 경과보고 심의 - 이화선위원이 2022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계획 및 운영경과를 회의자료 pp.25~33을 참고 하여 보고하다. - 이명희위원장이 질의가 있는지 묻고 없음에, 예산 및 결산에 있어 방문요양 급여 수가 부분은 회계단위를 별도로 관리하여, 수가에서 인건비 지출 비율 86.6%를 준수하고 있음을 정리해야 함을 말하다. 5. 기타사항 - 이화선위원이 2022년 사업계획 및 예산에 대한 심의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 2차 운영위원회 일정 조율이 필요함을 이야기하다. - 이에 참석 위원 12월 2일(금) 오전11시로 잠정 의견을 조율하다. - 이명희위원장이 더 이상의 심의내용 및 조율내용이 없음을 확인하고, 긴 시간 회의 참석에 대 한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폐회하다. - 5 -Ⅳ 1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사업계획 및 예산(안) 심의 기본현황  조직도 제주특별지치도 사회서비스원 센터장 운영위원회 장기요양서비스사업 긴급돌봄 지원사업 우리마을돌봄센터사업  인력현황 (단위 : 명) 구분 계 센터장 사원 돌봄서비스제공인력 현원 7 1 1 5 정원 7~55 1 1~4 5~50  주요사업 구 분 세 부 사 업 내 용 종합재가센터 운영 - 기관 조직강화 및 관리(인사, 노무, 시설관리 등) - 운영위원회 정례회의 운영 - 전담 종사자 역량 강화 및 내부회의 정례화 - 홍보사업 진행 및 관리 - 지역사회 네트워크사업 진행 및 관리 장기요양서비스 사업 - 상시 서비스 제공 가능하는 요양요원 채용 - 장기요양등급 판정자에 대한 재가방문요양서비스 제공 - 요양요원 인력풀 관리(역량강화 교육, 사례회의, 간담회 등) - 급여 이용자 사례회의 및 슈퍼비젼 - 요양요원의 처우개선지원사업 진행 - 6 -구 분 세 부 사 업 내 용 긴급돌봄지원 사업 - 돌봄 공백을 메우는 돌봄서비스 (신체활동지원, 건강관리지원, 가사활동지원, 사회활동지원, 정서 활동지원, 기타활동지원 등) 제공 - 긴급돌봄지원단 인력풀 구성 및 관리 - 긴급돌봄지원단 인력 역량강화(직무, 실습교육, 강화교육 등) - 서비스 제공계획 및 종결시 만족도(모니터링)조사 진행 우리마을돌봄 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- 인프라 구축(사무 및 서비스 제공 공간 구축, 설치신고 및 장기요양기관지정 등) - 기관운영 및 조직관리(인사, 노무, 운영위원회 운영, 종사자 역량강화 등) - 방문요양, 주간보호서비스 중심으로 마을주민 관계역량강화 사업진행 - 제주형 마을 중심 돌봄 인프라 모델 매뉴얼 제작 - 7 -2 2023년 사업계획 1. 종합재가센터 운영사업 ◇ 통합돌봄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 자리매김하고 사회적 돌봄 역 할 실천을 위한 공공의 돌봄서비스 개발 및 실천  추진전략 ❍ 정착기로 사업추진 확대 방안 및 모색 ❍ 지역사회 기대에 부응하는 맞춤형 공공돌봄서비스 개발 및 실천  사업개요 ❍ (사업기간) 2023년 1월 ~ 12월 ❍ (사업대상) 불특정 다수의 제주도민, 전담 종사자, 운영위원회, 지역사회 유관기관 등 ❍ (사 업 비) 159,000천원 ❍ (주요내용) - 기관 조직강화 및 관리(인사, 노무, 시설관리 등) - 운영위원회 정례회의 운영 - 전담 종사자 역량 강화 및 내부회의 정례화 - 홍보사업 진행 및 관리 - 지역사회 네트워크사업 진행 및 관리 ❍ (사업목표) 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4 20 5 - 운영위원회 정례회의 운영 - 회의자료 및 회의록 6 12 2 - 센터 전담인력 역량 강화 - 학습자료, 보고서 - 출장신청서, 복명서 52 104 2 - 원활한 소통창구의 내부회의 - 회의자료 및 회의록 8 불특정 다수 불특정 다수 - 적극적 대외홍보활동 - 홍보사업계획 및 보고서, 보도자료 등. 12 24 2 - 지역 내 활발한 네트워크활동 - 출장신청서, 복명서 - 활동보고서 등. - 8 - 기대효과 ❍ 기관 운영의 유지 지속 가능한 안정화 ❍ 양질의 공공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, 도민의 돌봄서비스 체감도 향상  향후계획 ❍ 내실 있는 운영위원회 운영을 통한 기관 조직력 강화 ❍ 기관 조직력 강화 및 업무수행에 있어서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사회서비스 및 돌봄서비스 동향 살펴보기, 법정의무 교육 등 종사자 역량 강화추진 ❍ 유관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 및 자원 활용을 위한 협업 추진 ❍ 대외홍보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 내 통합돌봄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찾아가는 홍보전략 추진 ❍ 추진일정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. 종합재가센터 기관 운영사업 1-1. 운영위원회 운영 1-2. 센터 인력 역량 강화 1-3. 홍보사업 관리 현수막 게시 홍보판촉물 제작 도내 홍보박람회 참여 1-4. 네트워크사업 관리 - 9 -2. 장기요양서비스사업(방문요양) ◇ 돌봄사각지대 및 민간기피 돌봄 사례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여 시민 복지 체감도 향상 및 서비스 질 향상 도모 ◇ 요양 요원의 처우개선 및 지위 향상 도모  추진전략 ❍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운영의 정착기로서 사각지대 및 민간기피 방문요양 급여 이용자 적극적 발굴 ❍ 요양요원의 처우개선을 위한 복리후생 추진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인식개선 활동  사업개요 ❍ (사업기간) 2023년 1월 ~ 12월 ❍ (사업대상) 급여 이용자, 소속 요양요원 등 ❍ (사 업 비) 57,234천원 ❍ (주요내용) - 상시 활동 가능한 요양요원 채용 - 방문요양서비스 급여제공 - 요양요원의 역량강화 및 법정의무교육, 간담회 등 진행 - 급여 이용자 사례회의 및 슈퍼비젼 - 요양요원의 처우개선지원사업 진행 ❍ (사업목표) 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1 5 5 - 돌봄인력 일자리 창출 - 채용공고 - 채용결과보고서 - 근로계약서 120 1,200 10 - 방문요양서비스 급여제공 - 급여제공계약서 - 급여제공 서류일체 - 이용자만족도조사 2 10 5 - 돌봄인력의 역량강화 - 교육계획서 - 참가자 명단 - 교육결과보고서 - 10 -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12 60 5 - 돌봄인력 간담회 - 간담회계획서 - 간담회보고서 2 10 5 - 사례회의 및 슈퍼비전 - 사례회의계획서 - 사례회의보고서 2 10 5 - 돌봄인력 처우개선 - 만족도조사  기대효과 ❍ 지역사회 안에서 급여 이용자의 건강증진 및 일상생활 유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이용자 삶의 질 향상, 보호자의 돌봄 부담경감 및 만족도 향상 ❍ 돌봄 요양요원의 처우개선 및 인식개선으로 서비스 품질 향상  향후계획 ❍ 지역조사 및 네트워크활동 기관방문 등 기관 운영 조언 및 민간기피 사례에 대한 서비스 제공 협업 추진 등. ❍ 추진일정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. 장기요양서비스 사업 2-1. 요양요원(요양보호사)채용 결원 및 급여 이용자 규모에 따라 2-2. 방문요양서비스 제공 2-3. 요양요원의 역량강화 2-4. 요양요원의 간담회 2-5. 사례회의 및 슈퍼비젼 2-6. 요양요원 처우개선사업 근골격계질환예방지원 연말송년행사(포상 등) - 11 -3. 긴급돌봄지원사업 ◇ 코로나19 및 가정 내 긴급한 사고와 질병 발생 등으로 인한 돌봄 공 백 문제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함.  추진전략 ❍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돌봄 공백 문제 해결을 위한 돌봄서비스 제공 ❍ 가정 내 갑작스런 사고와 질병 발생 등으로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 발생 시 보충 적, 한시적, 신속하게 돌봄서비스 제공  사업개요 ❍ (사업기간) 2023년 1월 ~ 12월 ❍ (사업대상) 코로나19로 인한 긴급돌봄과 그 외 긴급돌봄이 필요한 자 ❍ (사 업 비) 19,600천원 ❍ (주요내용) - 돌봄 공백을 메우는 돌봄서비스(신체활동지원, 건강관리지원, 가사활동지원, 사회활동지원, 정서활동지원, 기타활동지원 등) 제공 - 긴급돌봄지원단 인력풀 구성 및 관리 - 긴급돌봄지원단 인력 역량강화(직무교육, 실습교육, 강화교육 등) - 서비스 제공계획 및 종결시 만족도(모니터링)조사 진행 ❍ (사업목표) 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1 20 20 - 긴급돌봄지원단 인력풀 구성 - 모집공고 - 모집결과보고 2 40 20 - 긴급돌봄지원단 역량강화 : 직무교육 및 전문분야교육 실습교육 - 교육계획서 및 보고서 - 참여자 명단 - 만족도조사 12 300 25 - 양질의 돌봄서비스 제공 - 긴급돌봄지원신청서 - 서비스제공계획서 - 이용자만족도조사 1 25 25 - 서비스 제공 만족도조사 - 이용자만족도조사 4 불특정 다수 불특정 다수 - 긴급돌봄사업 대외홍보 - 홍보계획 및 진행보고서(출 장복명서 및 보도자료 ) - 12 -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- 사업관련 카드뉴스제작 분기별 총 4회  기대효과 ❍ 사회적 재난 및 사고, 질병에 따른 위기 상황 발생 시 긴급돌봄이 필요한 취약계 층에 신속하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함으로 돌봄 사각지대 최소화 ❍ 공공 돌봄서비스 제공으로 서비스 이용자 및 보호자 경제적 부담 해소  향후계획 ❍ 긴급돌봄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돌봄 파견인력 확보에 대한 협업체계 구축하여 서비스 제공이 신속하게 상시 진행 ❍ 돌봄서비스 전문가 및 공무원을 포함한 내‧외부 선정심의위원회 구성하여 공정 한 대상자 선정 및 서비스 제공 ❍ 코로나19 외 서비스 수요자에 대한 다양한 긴급돌봄서비스 개발 및 연계 ❍ 추진일정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3. 긴급돌봄지원사업 3-1. 긴급돌봄지원단 인력풀 모집 3-2. 긴급돌봄서비스 심의위원구성 3-3. 긴급돌봄지원단 교육진행 3-4. 서비스 제공 후 만족도조사 3-5. 대외홍보활동 - 13 -4. 우리마을 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◇ 돌봄 인프라가 취약한 농‧어촌 또는 중산간 지역의 마을 공유 공간을 활용한 제주형 마을 중심 돌봄 모델개발  추진전략 ❍ 제주형 마을 중심 돌봄 모델“우리마을 돌봄센터”1지역 개소 및 운영 ❍ 개소 후 정착기로서 지역주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“우리마을 돌봄센터”로서 인식개선 및 참여 독려  사업개요 ❍ (사업기간) 2023년 1월 ~ 12월 ❍ (사업대상) 한경면 저지1리 거점으로 중산간 마을 내 돌봄 필요 어르신 다수 ❍ (사 업 비) 구축 및 운영사업비 : 230,000천원 / 장기요양사업비 86,690천원 ❍ (주요내용) - 인프라 구축(사무 및 서비스 제공 공간 구축, 설치신고 및 장기요양기관지정 등) - 기관운영 및 조직관리(인사, 노무, 운영위원회 운영, 종사자 역량강화 등) - 방문요양, 주간보호서비스 중심으로 마을주민 관계역량강화사업 진행 - 제주형 마을 중심 돌봄 인프라 모델 매뉴얼 제작 ❍ (사업목표) 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1 1 1 - 공간구성 - 임대차계약서 1 8 8 - 센터 전담 인력 채용 (전담:3명, 서비스제공:5명) - 채용공고 - 채용결과보고서 - 근로계약서 1 1 1 - 재가노인복지시설 설치신고 - 시설설치신고증 - 고유번호증 1 1 1 - 장기요양기관지정 신청 - 장기요양기관지정서 3 15 5 -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- 회의자료 및 회의록 7 14 8 - 전담인력 및 돌봄종사자 역량강화 및 법정의무교육 - 교육계획 및 보고서 - 출장신청서, 복명서 - 14 -산출목표 건 (회) 연인원 (명/건) 실인원 (명/건) 성과목표 성과평가방법 1 50 50 - 개소식을 통한 인지도 향상 - 행사계획서, 보고서 - 보도자료 120 1,200 10 - 방문요양서비스 급여 제공 - 급여제공계약서 - 급여제공 서류일체 - 이용자만족도조사 120 1,080 9 - 주간보호서비스 급여 제공 - 급여제공계약서 - 급여제공 서류일체 - 이용자만족도조사 5 50 10 -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관계역량강화프로그램 진행 - 프로그램계획 및 보고서 - 지역주민 욕구조사 - 지역주민 만족도조사 1 1 1 - 마을중심 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 매뉴얼 제작 - 매뉴얼 발간 계획서 및 제작물  기대효과 ❍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돌봄서비스의 가치와 역할정리를 위한 선제적 시범운영 으로 지역사회 내 돌봄서비스 안정적 제공 가능 ❍ 농‧산어촌형 마을 중심의 돌봄 인프라 모델 매뉴얼 개발을 통해 정책적 제안 및 도정 돌봄서비스 인프라 구축과 발전에 기여  향후계획 ❍ 지역사회 내 인적자원 활용한 인력구성 계획 수립 ❍ 지역자원 활용 및 지역 주민 참여를 위한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❍ 인프라 구축 거점지역 중심으로 욕구조사 및 지역조사 진행하여 주민 참여형 돌봄센터 운영 구상 ❍ 농‧산어촌형 마을중심의 돌봄 모델개발 및 매뉴얼 제작을 위한 업무 진행계획 등. - 15 -❍ 추진일정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3. 우리마을 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 3-1. 공간구축 및 인력채용 3-2. 설치신고 및 장기요양기관지정 3-3.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3-4. 대외홍보 활동 개소식 3-5. 방문요양 및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 모집 및 발굴 3-6. 직원의 역량강화 3-7. 지역자원 활용 및 연계 3-8. 방문요양 및 주간보호서비스 급여제공 및 모니터링 3-9.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관계 역량강화 사업 3-10.마을중심 돌봄센터 모델개발 매뉴얼 제작 발간 - 16 -3 2023년 사업예산(안) 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 사업예산 총괄표 (단위 : 천원) 수 익 의 부 (A) 비 용 의 부 (B)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영업수익 계 159,000 영업비용 계 159,000 출연금수입 (국비출연금수익) (자치단체출연금수익) 159,000 79,500 79,500 인건비 업무추진비 운 영 비 시설비 사업비 예 비 비 97,813 3,000 52,940 1,000 3,700 547 차 액 (A-B) = 0 - 17 -■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사업 세부예산(안):금159,000천원 [수입부] 구 분 주 요 내 역 2023년 예산 비 고 계 159,000천원 수입예산 • 센터운영비 출연금 수입 159,000천원 국비 : 79,500천원 도비 : 79,500천원 [지출부] 구분 예산액 산 출 기 초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 계 159,000 (단위 : 천원) 01. 사무비 153,753             11. 인건비 97,813           111. 급여 - 센터장 1명×12개월×3,742,833원=44,914,000원 - 주임 1명×12개월×2,183,750원=26,205,000원 112. 각종수당 - 가족수당 2명×12개월×40,000원=960,000원 - 명절휴가비 7,112,000원 ·센터장 3,742,833원×120%=4,491,399원 ·주임 2,183,750원×120%=2,620,500원 - 시간외근무수당 2,000,000원 71,120 10,072 115. 퇴직급여적립금 6,812 - 81,743,000원/12개월=6,812,000원 116. 사회보험기관부담금 9,809 - 81,743,000원*12%=9,809,000원         12. 업무추진비 3,000      121. 기관운영비 500 - 기관운영 및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의 등에 필요한 경비   122. 회의비 - 운영위원회의 및 내부회의 진행 : 연5회×500,000원 2,500 13. 운영비 52,940 131. 여비 - 관내출장 2명×30회×10,000원=600,000원 - 관외출장 2명×2회×250,000원=1,000,000원 1,600   - 18 -구분 예산액 산 출 기 초                         132. 수용비 및 수수료 2,040 - 사무용품구입 12월×50,000원=600,000원 - 소모품구입 12월×30,000원=360,000원 - 요양요원 위생용품구입 4분기×30,000원=120,000원 - 도서 및 우편료 등 12월×30,000원=360,000원 - 그 밖의 사무비용 12월×50,000원600,000원 133. 공공요금 및 각종 세금과 공과 3,500 - 통신료 등 12월×50,000원=600,000원 - 상해보험료 등 3건×300,000원=900,000원 - 차동차보험료 1건×1,500,000원=1,500,000원 - 자동차세 등 1건×500,000원=500,000원 135. 차량비 - 차량유지관리비 12월×50,000원=600,000원 - 차량유류대 12월×100,000원=1,200,000원 136. 임차료 - 사무실 임대료 연세 1,800 44,000 02. 재산조성비 1,000           21. 시설비  1,000         211. 시설비 - 시설 개보수 등 발생 비용 500,000원 500 213. 시설장비유지비 500 - 공구·기구, 비품수선비용 500,000원 03. 사업비 3,700 31. 직원역량강화사업 1,000 311. 직원역량강화사업비 1,000 - 법정의무교육 2인×200,000원=400,000원 - 전문역량교육 2인×300,000원=600,000원   32. 대외홍보사업 2,700 321. 대외홍보사업비 2,700 - 현수막 제작 및 게시 4분기×150,000원=600,000원 - 홍보 판촉물 제작 1건×1,500,000원=1,500,000원 - 홍보 일반관리비 12개월×50,000원=600,000원 08. 예비비 547 81. 예비비 547 기관 운영 예비비 - 19 - 2023년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장기요양서비스 사업예산 총괄표 (단위 : 천원) 수 익 의 부 (A) 비 용 의 부 (B)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영업수익 계 57,234 영업비용 계 57,234 시도보조금 장기요양급여수가 (공단급여수가수익) (이용자부담금수익) 3,840 53,394 47,947 5,327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예 비 비 적립금 및 준비금 44,924 2,300 2,750 260 7,000 차 액 (A-B) = 0 - 20 -■ 2023년제주시종합재가센터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세부예산[안) : 금57,234천원 [수입부] 2023년 주요내역 예산 과목 산출내역 금액 계 57,234천원 보조금 수입 시‧도 보조금(종사자처우개선비) - 센터장 : 150,000원×12개월=1,800,000원 - 사회복지사 : 170,000원×12개월=2,040,000원 3,840천원 요양급여 수입 [방문요양] 월 평균 10명 이용 : 120분이상 / 평균수가(90%) 34,551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180분이상 / 평균수가(90%) 45,360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47,947천원 이용자 부담금 수입 [방문요양] 월 평균 10명 이용 : 120분이상 / 평균자부담(10%) 3,839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180분이상 / 평균자부담(10%) 5,040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5,327천원 [지출부] 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운영 계 57,234 01. 사무비 47,224     11. 인건비 44,924   113. 일용잡급(시간제 요양보호사) 33,225 1인×5시간×12일×10개월×11,075원=6,645,000원 5인×6,645,000원=33,225,000원 112. 각종수당(시간제 요양보호사) 3,886 간식수당: 5명×10개월×30,000원=1,500,000원 교육수당: 역량강화 5명×2회×88,600원=886,000원 주휴수당, 야간수당, 휴일근무수당 등 1,500,000원 112. 각종수당(전담인력 처우개선비) 3,840 센터장: 150,000원×12개월=1,800,000원 사회복지사: 170,000원×12개월=2,040,000원 115. 퇴직적립금(시간제 요양보호사) 3,473 5명×694,500원=3,472,500 116. 사회보험부담금(시간제 요양보호사) 500 10개월×50,000원=500,000 - 21 -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13. 운영비 2,300 131. 여비 원거리활동 교통비: 5사례×12일×10개월×3,000원 137. 기타운영비(복리후생경비) 명절선물비: 5명×2회×50,000원=500,000원 1,800 500 03. 사업비 2,750 33. 요양보호사 처우개선사업비 2,750 331. 처우개선지원사업비 5명×1회×150,000원 750 332. 요양요원역량강화 2회×300,000원 600 333. 요양요원 월간담회 12회×50,000원 600 334. 요양요원 사례회의 2회×250,000원 500 335. 요양요원 연말행사 1회×300,000원 300 08. 예비비 및 기타 260 811. 예비비 장기요양서비스 사업 운영 예비비 09. 적립금 및 준비금 7,000 911. 운영충당적립금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안정적인 기관 운영을 위한 적립금 7,000 - 22 - 2023년 긴급돌봄지원사업 예산 총괄표 (단위 : 천원) 수 익 의 부 (A) 비 용 의 부 (B)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영업수익 계 19,600 영업비용 계 19,600 기타전입금 (긴급돌봄지원사업) 19,600 19,600 인건비 공공운영비 사무관리비 여비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14,730 200 470 1,200 600 2,400 차 액 (A-B) = 0 - 23 -■ 2023년 긴급돌봄지원사업 세부예산(안) : 금19,600천원 [수입부] 구 분 주 요 내 역 2023년 예산 비 고 계 19,600천원 수입예산 • 긴급돌봄지원사업 기타전입금 19,600천원 도비 : 19,600천원 [지출부] 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긴급돌봄지원사업 운영 계 19,600 인건비 14,730   기간제 근로자 등 보수 14,730 기본급: 25사례×35시간×11,075원=9,700,000원 각종수당: 주휴수당, 야간수당, 위험수당 등 600,000원 교육수당: 20명×2회×88,600원=3,544,000원 공공운영비 200 200 전문인배상책임보험 200,000원 사무관리비 470 470 기타 사무운영비 470,000원 여비 1,200 1,200 10사례×40회×3,000원=1,200,000원 복리후생비 600 600 사회보험료 :12월×50,000원=600,000원 교육훈련비 2,400 2,400 강사료 400,000원×2명×3회=2,400,000원 - 24 - 2023년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예산 총괄표 (단위 : 천원) 수 익 의 부 (A) 비 용 의 부 (B)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영업수익 계 230,000 영업비용 계 230,000 기타전입금 (우리마을돌봄센터) 230,000 230,000 인건비 일반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 복리후생비 수선유지교체비 사업비 자산취득비 예비비 103,072 41,600 1,000 3,700 12,647 1,200 26,000 40,100 681 차 액 (A-B) = 0 - 25 -■ 2023년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운영사업 세부예산(안) : 금230,000원 [수입부] 구 분 주 요 내 역 2023년 예산 비 고 계 230,000천원 수입예산 • 우리마을돌봄센터사업 기타전입금 230,000천원 도비 : 230,000천원 [지출부] 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우리마을돌봄센터사업 운영 계 230,000 인건비 103,072   ○ 전담 종사자 인건비 90,031 - 기본급 : 77,271,000원 사회복지사(4급1호봉) 1명×26,257,000원 간호조무사(5급1호봉) 1명×25,744,000원 조리원(7급1호봉) 1명×25,270,000원 - 제수당 : 12,760,000원 처우개선비 3명×12월×170,000원=6,120,000원 가족수당 3명×12월×60,000원=2,160,000원 시간외수당 2명×2,240,000원=4,480,000원 ○ 전담 종사자 퇴직급여 13,041 - 사회복지사 1명×2,458,000 - 간호조무사 1명×2,415,000 - 조리원 1명×2,376,000 - 요양보호사(4명) 5,792,000 일반운영비 41,600 ○ 사무관리비 - 소모품 구입 12월×100,000원=1,200,000원 - 사무용품 렌탈비 12월×250,000원=3,000,000원 - 각종 수수료 및 인쇄비 등 1,000,000원 - 임차료 12개월×1,000,000원=12,000,000원 - 비품구입 등 9,000,000원 ○ 공공운영비 - 공공요금 12월×300,000원=3,600,000원 26,200 15,400 - 26 -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- 각종 보험료 2회×1,000,000원=2,000,000원 - 협회비 1회×500,000원=500,000원 - 차량구입제세광과금 1,700,000원 - 차량보험료 1,600,000원 - 차량유류비 12개월×100,000원=1,200,000원 - 차량관리비 12개월×100,000원=1,200,000원 - 차량물품(로고부착 등) 1,500,000원 - 차량구조변경 경비 2,100,000원 여비 1,000 - 국내여비 및 출장여비 4명×1회×250,000원=1,000,000 업무추진비 3,700 - 위원회수당 5명×4회×100,000원=2,000,000원 - 회의 진행비 4회×300,000원=1,200,000원 - 기타 기관운영 경비 500,000원 복리후생비 12,647 ○ 사회보험부담금 : 12,647,000원 사회복지사 1명×2,758,000원 간호조무사 1명×2,710,000원 조리원 1명×2,630,000원 요양보호사(4명) 4,549,000 수선유지교체비 1,200 - 시설장비유지비 12월×100,000원=1,200,000원 사업비 26,000 ○ 방문요양사업 : 3,000,000원 요양요원간담회 12월×100,000원=1,200,000원 이용자 모니터링 12월×100,000원=1,200,000원 사례회의 및 보고회 2회×300,000원=600,000원 ○ 주간보호사업 : 21,000,000원 간식비 10명×20일×12월×2,000원=4,800,000원 중식비 10명×20일×12월×4,000원=9,600,000원 일상건강지원프로그램 12월×50,000원=600,000원 특별활동프로로그램 12월×250,000원=3,000,000원 심리사회재활프로그램 12월×250,000원=3,000,000원 ○ 대외홍보사업 : 2,000,000 홍보물품 제작 2회×1,000,000원=2,000,000원 자산취득비 40,100 - 차량구입비(승합차량) 35,000,000원 - 사무기기구입 등 5,100,000원 예비비 681 - 우리마을돌봄센터 구축 및 사업운영 예비비 - 27 - 2023년 우리마을돌봄센터 장기요양서비스 운영사업예산 총괄표 (단위 : 천원) 수 익 의 부 (A) 비 용 의 부 (B)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계 정 과 목 당 년 도 예 산 액 영업수익 계 86,690 영업비용 계 86,690 장기요양급여수가 (공단급여수가수익) (이용자부담금수익) 86,690 78,021 8,669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예 비 비 적립금 및 준비금 74,290 4,000 2,500 900 5,000 차 액 (A-B) = 0 - 28 -■ 2023년 우리마을돌봄센터 장기요양서비스 운영사업 세부예산[안) : 금86,690천원 [수입부] 2023년 주요내역 예산 과목 산출내역 금액 계 86,690천원 [방문요양] 월 평균 10명 이용 : 120분이상 / 평균수가(90%) 34,551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180분이상 / 평균수가(90%) 45,360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47,947천원 요양급여 수입 [주간보호] 월 평균 9명 이용 : 3등급 / 3시간 이상~6시간 미만 평균수가(90%) 28,422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4등급 / 3시간 이상~6시간 미만 평균수가(90%) 27,126원*주3회*4주*10개월*4명 30,074천원 [방문요양] 월 평균 10명 이용 : 120분이상 / 평균자부담(10%) 3,839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180분이상 / 평균자부담(10%) 5,040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5,327천원 이용자 부담금 수입 [주간보호] 월 평균 9명 이용 : 3등급 / 3시간 이상~6시간 미만 평균수가(10%) 3,158원*주3회*4주*10개월*5명 : 4등급 / 3시간 이상~6시간 미만 평균수가(10%) 3,014원*주3회*4주*10개월*4명 3,342천원 [지출부] 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장기요양서비스사업 운영 계 86,690 01. 사무비 78,290     11. 인건비 74,290   113. 일용잡급(시간제 요양보호사) 70,880 1일×8시간×20일×10개월×11,075원=17,720,000원 4인×17,720,000=70,880,000원 112. 각종수당(시간제 요양보호사) 3,410 교육수당: 역량강화 4명×2회×88,600원=708,800원 주휴수당, 야간수당, 휴일근무수당 등 1 ,500,000원 방문요양서비스 제공인력 간식수당 4명×10개월×30,000원=1,200,000원 13. 운영비 4,000 131. 여비 방문요양서비스 3,600 - 29 -구분 예산액 산출기초(단위 : 천원) 원거리 활동교통비:10사례×12일×10개월×3,000원 137. 기타운영비(복리후생경비) 명절선물비: 4명×2회×50,000원=400,000원 400 03. 사업비 2,500 33. 요양보호사 처우개선사업비 2,500 331. 건강증진사업비 4명×1회×150,000원 600 332. 요양요원역량강화 2회×300,000원 600 333. 요양요원 월간담회 10회×50,000원 500 334. 요양요원 사례회의 2회×250,000원 500 335. 요양요원 연말행사 1회×300,000원 300 08. 예비비 및 기타 900 811. 예비비 장기요양서비스 사업운영 예비비 09. 적립금 및 준비금 5,000 911. 운영충당적립금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안정적인 기관 운영을 위한 적립금 5,000 - 30 -Ⅴ 제주시종합재가센터 운영규정 개정 경과보고 - 2022년 1차 운영위원회 개최 후 보고 (→ 법인 :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) 관련문서 : 제주시종합재가센터-636호 첨부파일 : 회의록 -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돌봄서비스지원팀 협업하여 개정(안) 작업 -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이사회 안건 상정 예정 (2022년 12월 12일) Ⅵ 기타사항 - 31 -